과학도의 자세 - 이정모 과학을 지망하는 젊은이에게 주는 글 과학도의 자세 [The Credos of a Student of Science]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 이 정 모 jmlee@skku.edu http://cogpsy.skku.ac.kr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 이 글은 여러 해 동안 몇 개 대학의 대학원생들과 일부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강의한 실험심리학 또는 인지심리학 관련 강좌의 마지막 시간에 이야기한 내용을 과학도의 자세와 관련하여 축소, 재정리한 것입니다. 이 글이 젊은 과학도들에게 .. 더보기 마음의 구조(레이 제켄도프) 中 언어의 공헌으로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아마도 언어가 우리 인간으로 하여금 사고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일 것이다. 이 생각은 물론 어떤 면에서 아주 타당한 것이기는 하지만 - 어떤 사고 - 생각을 더욱 구체화 시키고 정확하게 만드는 것을 돕는다는 면에서 언어의 효용가치는 물론 무한하다. 그러나 이 생각에 전적인 찬성을 표하기 전에 우리는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. 우선, 최소한 동물 중의 일부가 생각할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부정할 수 없으리라고 본다. 또 하나의 이유는, 인간의 모든 생각이 언어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. 베토벤이나 피카소가 그들의 걸작을 만들어 낼 때 그들에게 생각이 필요했던가?(난 그렇다고 생각한다) 그렇다면, 그들이 예술을 창조할 때 언어가 필요했던가?(.. 더보기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··· 109 다음 목록 더보기